본문 바로가기

상품 검색

장바구니0

평영 >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수영 평영

페이지 정보

작성자 인의예지 작성일 15-03-25 17:57 조회 3,919회 댓글 1건

본문

  • 페이스북으로 공유
  • 트위터로  공유
  •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가장 안되는게 평영이네요. 

한다고 하는데 잘 안 돼 답답합니다 
그래서 이것저것 질문하려합니다. 
먼저 질문검색중  발견한 것인데요 

예전 평영보다 상체가 

좀 더 낮아지고, 킥타이밍이 좀 더 늦습니다. 

요 답변에서 먼저 궁금한게 업로드 하신 동영상이 
이 요즘평영(?)스타일인가요? 

또한 발을 접을때 힘을 빼라 하셨는데 
발목은 돌아가 있어야 한다고 하심은 
발에 힘을 빼서 접고 
발목에는 힘을 준 상태로 뒤로 발차기 하란 것인지 
궁금랍니다. 

그리고 킥에대한 해설을 들으면 복숭아뼈와 
종아리안쪽 부분으로 뒤로 밀라고 하셨는데 
웹 검색중 보게된 윕킥 웨지킥에대한 설명을 보면 
윕킥은 휘돌려차는거라며 설명하더라구요.. 
업로드하신 동영상은 발을 꺾는 모양을 보면 
틀림없이 윕킥인데 발차기에서 윕킥의 휘돌려차기(?) 
에대한 언급은 없어서 발을 찰때 
어떻게 차야할지 애매하네요 윕킥이 추진렷이 좋다 해서 ㅎㅎ 

그리고 가장 해결을 하고 싶은건 
평영킥을 연습할때 

손동작없이 킥한번 호흡한번 하면서 가면 
손동작을 안하면 호흡이 안될 정도로 몸이 가라앉습니다 
다른분들는 설렁 설렁 발차기 해도 호흡타이밍이 
잘 나오는데 왜 전 안나올까요? 
발을 차면 앞으로는 나가는데 고개를 들려하면 
어김없이 가라 앉습니다. 

연달아서비슷한 질문인데 
영상에서나 다른분 연습하는 것 보면 
킥판잡고 고개들고 평영킥을 하면 잘 나갑니다 
그런데 저는 고개들고 평영킥을 하면 킥판을 잡고 있음에도 
속으로 가라앉고 나오는 것을 반복하게 됩니다. 
어깨에 힘이 많이 들어가는 건지 
고개 드는 방식이 잘못된건지 이래저래 복잡합니다 

킥판잡고 호흡한번 발차기한번은 비교적 낫습니다. 

고개들고 자유형 발차기도 다른 것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힘이 드는 편입니다. 

호흡하며 킥판잡고 자유형발차기는  힘도 안들어가고 
속도도 나쁘지 않고 발차는 느낌도 좋습니다 

뭐든 앞으로 고개 들면 푹푹 가라앉고 
가라앉지 않게 발차기하면 어떤 것이든 
전신에 힘이 들어가며 피로가 쌓이네요. 

솔루션 내는 데에 정보가 많은 게 좋지 않을까 하여 
필요이상일지도 모르게 글을 적었습니가. 
봐주시고 검토해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다른 수영은 그래도 우리반엔선 에이스 비슷한 
소리들며 수업하는데 평영만 하면 발차기가 안되는 
뒤에 출발한 어머님께 따라잡히는 신세가 되니 답답하네요 

여하간 친절한 답변은 

늘 고맙습니다. 별 다섯개도 마켓에 찍었습니다ㅎㅎ 

추천0 비추천 0
목록 답변 글쓰기

댓글목록

SL님의 댓글

profile_image SL 작성일

안녕하세요. SL입니다.

우선 첫째질문답변.

요즘 평영스타일을 보기 편하게 천천히 한것입니다.

두번째 질문답변.

무릎관절에 힘을 빼고 편하게 접힌 상태에서 발목은
발가락 부분이 전경쪽으로 당겨지는 느낌으로 준비동작이
진행 됩니다. 전경에 컨트렉션이 들어가기때문에 힘이
안들어 갈수는 없지만 힘을 준다는 이미지는 아니고
그냥 '당긴다' 정도의 이미지로 가주시면 됩니다.

세번째 질문답변.

윕킥과 웨지킥의 용어 자체를 아신다는게 수영에
얼마나 지대한 관심을 가지고 계신지 알 것 같습니다.
생활체육자격증을 가진 친구들중에서도 정확히 모르는
친구들이 있습니다.

1.웨지킥 - 다리를 넓혀 물을 모아 합력에 의해 추진 발생

2. 윕킥 - 내측 경골로 물을 걸어 그대로 밀며 마무리로
            발바닥까지 물을 끝까지 밀어내 추진.

실제 강습때 초보자에게 윕킥을 가르치기가 힘들어 그냥
웨지킥으로 가르치는 경우가 있으나 강습추세는 처음에
윕킥으로 가르치고 안되는 분들에 한하여 웨지킥을
가르칩니다.

윕킥을 휘돌려 진행한다고 착각하는 분들이 많이 계신데
그것은 관절의 구조상 모양이 그렇게 보이기 때문에
그런것 같습니다.

실제 강습영상을 봐도 휘돌리는 모양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휘돌리는 느낌으로 하는 것이 아니고, 직선적으로
뒤로 밀어준다는 느낌으로 하여야 효율적인 킥이 됩니다.

서양선수들 같은 경우 고관절,무릎의 유연성과 힘이 선천적으로
좋기 때문에 육안으로 봐도 직선적인 모습이 보입니다.
하지만 동양인들의 경우 관절의 구조가 조금 다르기 때문에
잡동작?이 조금 나옵니다. 일본 유명 평영선수 '키타지마'
같은 경우도 약간 휘돌리는 모습이 나오지만 다른 동양
선수들에 비해서는 깔끔하게 킥이 진행 됩니다.

http://netv.sbs.co.kr/player/netv_player.jsp?uccid=10001639410&boxid=&st=0&cooper=NAVER

여기 '레베카'의 영법을 보시면 도움이 많이 될 것입니다.
세상에서 남녀 통틀어 가장 깔끔한 영법입니다.

킥연슴 질문답변.

호흡을 하려 고개가 들릴때 체중이 하체로 빠지기때문에
중심(신체부위 예시 : 엉덩이)이  가라앉는 것은 지극히
정상입니다.
하지만 킥판까지 가라앉는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현상이며
그렇게 된다면 킥판을 어깨와 팔로 엄청난 힘으로 짖누른다는
이야기 입니다. 킥판은 보조용이지 구조용 부이가 아닙니다.
절대 킥판에 의지할 생각을 하면 안됩니다. 팔을 '걸칠뿐'
이라는 생각정도로 하여야 합니다.

호흡타이밍은 킥을 진행 시켜 추진을 하고 난 '후' 가 됩니다.
초보자들의 경우 추진을 하며 호흡을 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리고 미는 방향에 대한것이 가장 중요한데 킥은 진행방향의
정반대일수록 좋은 킥입니다. 타 영법은 관절의 모양 때문에
대각이 최선이지만 평영의 경우 정반대 방향으로 킥 진행이
가능하기 때문에 원킥으로는 최고의 효율입니다.

킥 진행의 방향에 대하여도 생각해 보시면 좋을 것입니다.

마지막 질문답변.

헤드업 영법은 체중이 하체로 실리게 되기때문에 당연히
영법이 힘듭니다. 하체로 체중을 다 받아가며 영법이 진행
되기 때문입니다. 대퇴가 인간의 근육중 가장 큰 근육입니다.
그것에 부하를 더 주니 힘들지 않다면 사람이 아니겠죠.

이상으로 답변을 마무리 하겠습니다. 아직 이해 안되거나
의문을 풀지 못한 부분은 질문하여 주세요.
감사합니다.

게시물 검색
회사소개 개인정보 이용약관
Copyright © 2019-2024 아쿠아쏙.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
전화